'DBMS의 새로운 대안_ALTIBASE'에 해당되는 글 260건

  1. 2007.08.20 부탁, 못 지킨다면 차라리 거절? 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 2007.08.20 [ALTIBASE MM DBMS Case Study_04]한국과학기술정보원 수강신청시스템 2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사람들은 누군가 부탁을 해오면 흔히 “노력해 볼게요!”라는 말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말의 대부분은 ‘하지 않겠다’는 말과 동격으로 봐도 무방하다.


한 번 여러분 자신을 돌이켜보라. “시간 내 볼게요”, “시도해 볼게요”라는 말을 지킨 적이 몇 번이나 있었는지. 아마 못 지킨 적이 훨씬 많을 것이다.

 

누군가가 도움을 요청해 올 때 당신이 해 줄 수 있는 일이라면 시원스럽게 “네, 알겠습니다”, “곧바로 실행으로 옮기겠습니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되라.

상대는 당신에게 평상시보다 더 많은 신뢰와 고마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고마움은 언젠가 당신에게 고스란히 되돌아오게 되어 있다.

사람은 누군가에게 빚지면 갚고 싶어 하는 본성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못하겠으면 차라리 정중히 거절하라.
“죄송합니다. 이번은 안 되겠고, 다음 기회에 도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라며 상대가 서운하지 않게 약간의 설명을 덧붙여 다음을 기약하라. 실행에 옮기지도 않을 “시도해 볼게요”, “나중에 할게요”라는 말로 얼렁뚱땅 넘어가지 마라. 이미 상대는 당신의 대답에서 이미 하지 않겠다는 마음을 다 엿보고 있으니까.


요즘은 혼자의 능력만 가지고는 살아가기 어려운 세상이다. 서로 서로 돕고 살아가야 한다. 이 말의 의미가 누군가에게 냄새나는 구린 청탁을 하고 받으라는 말이 아니다. 살다보면 도움을 받을 일도, 도움을 구하는 일도 생기게 마련이다. 상대에게는 어려운 일이 나에게는 보다 쉬운 일일 수 있고, 상대에게는 쉬운 일이 나에게는 어려운 일일 수 있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거면 확실히 주도록 하라. 그리고 이왕 줄 거면 빠른 시일 내에 주도록 하라. 정성에 속도가 더해지면 상대가 느끼는 고마움은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이 된다.


주변에 성공한 사람들이나 존경받는 사람들을 보면 상대가 요청하는 도움을 자기 일처럼 들어준다. 흔쾌히, 기분 좋게, 완벽하게 부탁을 들어주는 사람이다. 사람을 최우선으로 여기니 당연히 업무도 잘된다.


살다보면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받을 때가 있다. 사람 사이는 ‘give and give’가 아닌 ‘give and take의 관계이기 때문이다. 속도가 경쟁력이라는 말이 있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일이 있으면 정성 뿐 아니라 속도까지 더해서 줘보라. 당신의 경쟁력은 몇 배로 커질 테니까.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안녕하세요.. 삐롱사리입니다.
잘들 지내셨어요?
제가 며칠 뜸했죠? 여름 휴가를 다녀왔답니다.
언제나 그랬듯 올해도 방콕을 다녀왔습니다.. 늘 가는 방콕이지만, 좋은 사람들과 함께여서 그런지 새롭더라구요.. 호호호
아침부터 실없는 소리를 잔뜩 했네요..

오늘은 MMDBMS 적용 사례 제 4탄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원 수강신청시스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1회 MMDBMS 활용사례 공모전에 접수된 사례를 재가공한 것입니다..

[ALTIBASE MM DBMS Case Study_04]한국과학기술정보원 수강신청시스템

치열한 수강 신청 '전쟁', MMDBMS로 '평정'

수강신청 시스템
‘카이스트'라는 이름으로 더욱 친숙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지난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된 이래 약 3만 명의 과학 기술 인재를 양성해 온 명실 공히 국내 최고의 이공계 종합대학이다.
특히 연간 1000억 원 이상의 연구비 투자를 통해 100개 이상의 연구센터(연구실)을 운영하는 한편, 학사 과정에서도 연구 과제를 수행하도록 의무화함으로써 연간 1000건 이상의 연구 과제 수행 실적을 보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야말로 국내 최고의 ‘공부벌레'들이 모여 최고의 기술 개발에 매진하는 곳이 한국과학기술원, 즉 카이스트인 것이다.
그러다보니 한국과학기술원의 수강신청은 특히 치열할 수밖에 없다. 매 학기 수강신청 기간마다 서로 먼저 좋은 교과과목을 신청하려고 몰려드는 재학생들 때문에 서버가 다운될 정도.
이런 현상은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포함해 약 6000명에 달하는 한국과학기술원 재학생들에게 좀 더 듣고 싶은, 혹은 학점 이수가 상대적으로 쉬운, 아니면 연구 과제를 위해 필수적으로 들어야만 하는 교과 과목을 신청하는 것이 곧 학위 이수의 경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600명만 동시에 몰려도 처리 성능 "삐그덕"
그러나 한국과학기술원의 수강 신청 시스템 성능 저하 문제는 단순히 재학생들의 뜨거운 수강신청 경쟁 열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기존에 구축되어 있던 수강신청 시스템의 DBMS가 원활한 서비스를 수행하기에는 성능상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2000년에 구축된 한국과학기술원의 수강신청 시스템은 사이베이스의 ASE 12.2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문제는 이 시스템이 디스크 기반의 DBMS라는 특성상, 동시접속자가 증가할 경우 디스크 I/O에 데이터 처리 요청이 몰리면서 병목 현상이 발생해 결국 시스템 중단으로까지 이어진다는 것이다.
실제 한국과학기술원의 기존 DBMS는 동시 사용자가 600명 이상만 몰려도 디스크 I/O의 병목 현상으로 인해 시스템 처리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중단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성능 저하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다보니, 재학생들이 조금이라도 먼저 수강신청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신청 시작 전부터 웹서버에 접속, 대기하는 상황이 연출됐다. 그러나 이는 더 큰 문제를 야기 시켰다.
웹 서버 접속마저 폭주하면서, 수강 신청 시스템은 물론 웹서버까지 중단돼 다른 학사행정 서비스에 지장을 주게 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한국과학기술원은 지난 2004년, 기존에 운영중이던 수강신청 시스템의 재구축 작업을 수행하게 됐다. 재구축의 초점은 1000명 이상의 동시접속자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안정성과 빠른 응답속도가 보장되는 새로운 수강신청 시스템용 DBMS 도입에 맞춰졌다.
한국과학기술원은 수강신청 시스템 특성상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고, 또 일단 접속된 사용자의 경우에도 수강 신청이 마무리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트랜잭션을 점유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성능 면에서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빠른 DBMS를 고려하게 됐다. 이런 배경 하에 한국과학기술원이 최종 도입한 DBMS는 알티베이스의 MM DBMS였다.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빠르게 데이터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고, 또한 I/O의 병목 현상으로 인한 시스템 중단도 막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MMDBMS 도입 후, 처리 속도 4배 향상
알티베이스 MM DBMS를 도입한 한국과학기술원은 수강신청 시스템 환경을 WAS(Web Application Server) 기반의 SSO(Single Sign On) 환경으로 변경했다. 기존에 X-인터넷 솔루션인 TOInB 기반으로 구축되었던 환경을 JSP(JAVA Sevlet Page) 기반의 WAS 환경으로 구성하고, 인증 과정을 거쳐 알티베이스 MM DBMS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서버 환경도 썬 파이어 15K의 하이엔드급 서버 시스템으로 변경했다. 이 서버 기반에서 WAS와 알티베이스 MM DBMS가 연계되어 있다.
구축 과정에서 큰 어려움은 없었다고 한다. 신규 업무 시스템 구축이 아니었기 때문에 업무 분석 및 기획 과정이 없어, 프로젝트가 단기간 내에 진행됐으며 특히 알티베이스 MM DBMS의 개발 언어가 오라클과 매우 유사해 개발자들이 쉽게 적응하고 활용할 수 있었다는 것이 한국과학기술원 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한 가지,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이전 작업에서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미 디스크 기반의 DBMS에 구축되어 있는 기존의 학사시스템과 알티베이스 MM DBMS 간의 연동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 때문. 이에 한국과학기술원은 수강신청 기간에 기존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이전해서 수강 신청 업무를 수행하고, 수강신청 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다시 기존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이전하는 방법을 택했다. 그러나 이전 대상 테이블이 주로 학적 테이블과 수강신청 관련 테이블로, 비교적 많지 않아 이 작업은 배치 작업만으로도 문제없이 처리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은 알티베이스 MM DBMS 도입을 통해 기존 대비 4배 이상 처리 속도가 개선된 효과를 보고 있으며, 수강 신청 기간에도 시스템 성능 저하나 시스템 다운 현상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졌다 평가했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